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의 꽃이라고 불리는 주택자금 공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자금 공제는 굉장히 복잡합니다. 꼭 끝까지 따라오셔서 기초 개념과 절세전략까지 다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1. 주택자금 공제 

 

① 주택자금 공제란?

근로자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해 주택을 취득하기 전·후 단계별로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를 해주는 조세 지원제도입니다.

 

 

 

 


2. 주택 구입 단계별 공제 대상

 

⑴ 저축 단계

 

■ 주택 마련 저축 공제 / 소득공제 

 * 공제대상자 : 연도 중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연중 잠깐이라도 주택을 취득한 경우 적용 제외)

 * 공제금액 : 청약저축 · 주택청약종합 저축 납입액 


⑵ 무주택자를 위한 주거 지원 단계

 

■ 주택 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 소득공제 

* 공제 대상자 
⒜ 금융기관 차입분 : 연말 현재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 개인간 차입분 : 연말 현재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로서 총급여액이 연간 5천만원 이하인 자 

*  공제금액 
국민주택 규모의 주택(오피스텔 포함) 임차를 위한 전세·월세 보증금 대출금 원금과 이자 상환액 

 

■ 월세 세액 공제 / 세액공제 

 * 공제 대상자

  연말 현재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이면서 총급여액이 연간 7천만원 이하인 자

 

 * 공제 금액

  국민주택규모의 주택 또는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의 주택(오피스텔 및 고시원을 포함)을 임차하기 위해 지급하는 월세액 

 


⑶ 주택 취득 이후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 소득공제 

 * 공제 대상자 : 차입 당시 무주택 또는 1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주

 * 공제 금액 : 주택을 취득하기 위해 차입한 차입금의 이자 상환액 

 


3. 주택자금 공제 통합한도 

 

⑴ 주택 마련 저축 공제 = MIN {납입액, 연 240만원} × 40% 

 

⑵ 주택 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 MIN {원금 및 이자상환액의 40%, 연 400만원} 

 

⑶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 MIN{이자상환액 , 연 300만원 ~ 1,800만원} 

★ 차입시기에 따라 통합공제한도 적용이 다름

 ⒜ `11.12.31 이전 차입한 차입금 

상환기간 10~15년 상환기간 15년~30년 상환기간 30년 이상 
연 600만원 연 1,000만원  연 1,500만원

⒝ `14.12.31 이전 차입한 차입금 (상환기간이 15년 이상인 경우)

고정금리·비거치식 이외의 경우
연 1,500만원  연 500만원

⒞ `15.1.1 이후 차입한 차입금

상환기간이 15년 이상 상환기간 10~15년
고정금리이면서 비거치식 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이외의 경우 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연 1,800만원 연 1,500만원 연 500만원 연 300만원

 

※ 통합한도

1. ⑴+⑵ 통합한도 : MIN{(⑴+⑵) , 연 300만원

2. ⑴+⑵+⑶  통합한도 : MIN {(⑴+⑵+⑶), 연 300만원 ~1,800만원


★절세 꿀tip ★

⑴ 근로자가 세대원인 경우 세대주가 주택자금 관련 소득공제를 받지 않은 경우에 한해 세대원도 공제가 가능

⑵ 무주택 또는 1주택 보유 여부의 판단은 근로자 본인과 배우자, 주민등록표 상의 동거가족이 소유한 주택을 포함한 보유주택 수로 계산 ※ 단, 배우자는 세대를 분리하여도 합산 ※ 

 


주택자금 공제의 경우 주택 구입 또는 차입의 형태가 다양하기도 하고, 특히나 장기주택저당 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의 경우 차입 시기별로 공제 한도액에 차등을 준다는 점에서 한번에 각인하기 어려운 감이 있습니다. 연말정산을 하실 때에 이 주택자금 공제가 사업주들의 골머리를 앓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꼼꼼한 서류 확인이 필수이고, 세무에 문외한 직원들이 혹시나 잘못된 공제를 적용하여 추후 가산세나 추가징수를 받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번 확인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나 직원 개인이 연말정산 수정신고를 하지 못하는 경우 회사에서 대행하여야 하는 경우도 가끔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신용카드 소득공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