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 의료비 공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이 있어 연말정산을 앞두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매년 이맘때쯤 연말정산 시 어떻게 해야 환급을 많이 받을 수 있을지 고민하실 겁니다. 작년에 사용한 금액을 바탕으로 세액을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도가 바뀐 후에는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지만, 이 의료비 세액공제를 잘 활용하신다면 훨씬 더 많은 세금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의료비 세액공제란?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 대상자(나이 및 소득금액의 제한 없음)를 위하여 해당연도에 지출한 의료비로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의 15%~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산출 세액에서 공제해 주는 지원 제도입니다. 2. 의료비 공제 요건 (1) 공제 대상자 ..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의 꽃이라고 불리는 주택자금 공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자금 공제는 굉장히 복잡합니다. 꼭 끝까지 따라오셔서 기초 개념과 절세전략까지 다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1. 주택자금 공제 ① 주택자금 공제란? 근로자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해 주택을 취득하기 전·후 단계별로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를 해주는 조세 지원제도입니다. 2. 주택 구입 단계별 공제 대상 ⑴ 저축 단계 ■ 주택 마련 저축 공제 / 소득공제 * 공제대상자 : 연도 중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연중 잠깐이라도 주택을 취득한 경우 적용 제외) * 공제금액 : 청약저축 · 주택청약종합 저축 납입액 ⑵ 무주택자를 위한 주거 지원 단계 ■ 주택 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 소득공제 * 공제 대상자 ⒜ ..

이번 게시글에서는 근로소득세의 이해와 고용관계 판단 여부, 근로소득세에 포함되는 항목, 제외되는 항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소득이란? 근로소득은 근로관계에 의하여 비독립적 지위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대가로 받는 급여 및 이와 비슷한 성질의 금품을 의미합니다. 소득세법에서는 근로소득을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과세하나 일용근로자는 예외적으로 '분리과세'하고, 근로소득에 대하여는 사업주에 의해 원천징수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으며, 근로소득자는 매년 연말정산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 종합소득 : 이자소득 / 배당소득 / 사업소득 / 근로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 분리과세 : 종합소득에 포함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세율에 의해 징수하는 세금 1-1. 근로소득자의 고용관계 판단..
- Total
- Today
- Yesterday
- 맞벌이부부
- 비과세
- 중도퇴사자연말정산
- 소득요건
- 3개월미만고용
- 보수
- 종합소득세
- 기타소득
- 원천징수
- 일용근로자연말정산
- 기본공제대상자
- 의료비
- 공제한도
- 고용보험
- 분리과세
- 건강보험
- 피부양자
- 육아휴직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절세
- 법정수당
- 사업소득
- 근무처변동내역신고
- 연말정산
- 절세전략
- 과세제외
- 소득공제
- 단시간근로자
- 세액공제
- 일용근로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