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일용근로자의 범위와 일용근로자의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용근로자 동일한 고용주에게 3월 미만 고용된 자로서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의 근로성에 따라 급여를 지급하는 자를 말합니다. 이때 3월 미만 고용된 자를 일용근로자, 그 이상 고용된 자를 일반근로자로 구분하게 됩니다. 2. 일반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구분 ① 일용근로자 - 원천징수 세액 : [일급-15만원] × 6% × 45% - 연말정산 : 대상 아님 * 원천징수만으로도 납세의무가 종결되는 분리과세 대상 소득 - 일용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대상 : 분기별 지급 금액에 대하여 마지막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 소액부징수 : 소득세법 제86조에 따라 원천징수 세액이 1천원 미만인 경우 소..

세법상 일용근로자와 4대 보험법에서 정의하는 일용근로자의 기준이 조금 다르다는 점, 혹시 알고 계시는가요? 그뿐만 아니라 각 4대 보험에서 취급하는 일용근로자의 개념도 조금씩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용근로자·단시간근로자의 정의와 4대 보험 적용 및 처리 방법, 고용 기간에 따른 판단기준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연금 ① 일용근로자 - 개념 : 1개월 미만 고용된 근로자 - 가입 여부 : 적용 제외 ② 단시간근로자 - 개념 : 1개월 동안의 소정 시간이 60시간 미만 (또는 주 근로 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 - 가입 여부 : 적용 제외 * 월 60시간 미만이더라도 월 8일 이상 근로를 제공한 경우 적용 * 생업을 목적으로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자 중 가입..
- Total
- Today
- Yesterday
- 고용보험
- 일용근로자
- 보수
- 소득요건
- 공제한도
- 절세
- 과세제외
- 근무처변동내역신고
- 의료비
- 사업소득
- 연말정산
- 일용근로자연말정산
- 기타소득
- 법정수당
- 기본공제대상자
- 원천징수
- 피부양자
- 소득공제
- 건강보험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중도퇴사자연말정산
- 3개월미만고용
- 세액공제
- 종합소득세
- 맞벌이부부
- 단시간근로자
- 육아휴직
- 절세전략
- 비과세
- 분리과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