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 의료비 공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이 있어 연말정산을 앞두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매년 이맘때쯤 연말정산 시 어떻게 해야 환급을 많이 받을 수 있을지 고민하실 겁니다. 작년에 사용한 금액을 바탕으로 세액을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도가 바뀐 후에는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지만, 이 의료비 세액공제를 잘 활용하신다면 훨씬 더 많은 세금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의료비 세액공제란?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 대상자(나이 및 소득금액의 제한 없음)를 위하여 해당연도에 지출한 의료비로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의 15%~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산출 세액에서 공제해 주는 지원 제도입니다. 2. 의료비 공제 요건 (1) 공제 대상자 ..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맞벌이 부부는 연중에 어떻게 소비 계획을 짜고, 연말정산에 누구에게 공제를 귀속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맞벌이 부부란? 연말정산에서 제시하는 '맞벌이 부부'는 부부 모두가 연간 소득이 100만원 이상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에는 총 급여액이 500만원 이상)인 부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똑같은 맞벌이 부부라도 한명이 휴직이나 출산 등으로 인해 당해 소득이 상기 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소득이 적은 쪽은 별도의 연말정산 없이 배우자의 기본공제 대상자로 공제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시 꼭 확인하세요! ① 주요 오류사항 Top 3 ⑴ 기본공제 : 부양가족에 대한 기본공제는 부부 중 1명만 신청 가능 - 자녀를 부부가 각각..
- Total
- Today
- Yesterday
- 소득공제
- 중도퇴사자연말정산
- 기타소득
- 과세제외
- 소득요건
- 근무처변동내역신고
- 단시간근로자
- 맞벌이부부
- 피부양자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비과세
- 보수
- 육아휴직
- 절세
- 세액공제
- 원천징수
- 절세전략
- 일용근로자
- 법정수당
- 사업소득
- 3개월미만고용
- 종합소득세
- 공제한도
- 기본공제대상자
- 의료비
- 연말정산
- 고용보험
- 건강보험
- 분리과세
- 일용근로자연말정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