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 대상자 및 연말정산 시기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게시글은 '연말정산 의무자'로 근로형태별 연말정산 의무자 유형에 대해 포스팅하였고 이번 게시글에서는 유형별로 연말정산 대상자인지, 중도정산 대상자인지, 비대상자인지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말정산 대상자 ① 12월 31일 연말 현재 재직자 기본 연말정산 인원 ② 연중 입사자 연중 입사자가 12월 31일 현재 사업장에서 근로하는 경우 대상자에 포함 ③ 연중에 일용근로자에서 일반근로자로 전환된 자 일정한 고용주에게 3개월 미만 고용되어 근로를 제공한 날이나 시간에 비례하여 급여를 지급받는 일용근로자는 분리과세 대상자이므로 연말정산 대상이 아니지만, 해당 연도 중 3개월 이상 고용되어 근로형태가..

이번 게시글에서는 근로소득세의 이해와 고용관계 판단 여부, 근로소득세에 포함되는 항목, 제외되는 항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소득이란? 근로소득은 근로관계에 의하여 비독립적 지위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대가로 받는 급여 및 이와 비슷한 성질의 금품을 의미합니다. 소득세법에서는 근로소득을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과세하나 일용근로자는 예외적으로 '분리과세'하고, 근로소득에 대하여는 사업주에 의해 원천징수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으며, 근로소득자는 매년 연말정산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 종합소득 : 이자소득 / 배당소득 / 사업소득 / 근로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 분리과세 : 종합소득에 포함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세율에 의해 징수하는 세금 1-1. 근로소득자의 고용관계 판단..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수
- 건강보험
- 기본공제대상자
- 연말정산
- 중도퇴사자연말정산
- 종합소득세
- 일용근로자
- 공제한도
- 육아휴직
- 근무처변동내역신고
- 절세
- 소득요건
- 일용근로자연말정산
- 고용보험
- 맞벌이부부
- 사업소득
- 절세전략
- 피부양자
- 분리과세
- 단시간근로자
- 비과세
- 소득공제
- 세액공제
- 법정수당
- 기타소득
- 3개월미만고용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의료비
- 원천징수
- 과세제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