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일용근로자의 범위와 일용근로자의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용근로자 동일한 고용주에게 3월 미만 고용된 자로서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의 근로성에 따라 급여를 지급하는 자를 말합니다. 이때 3월 미만 고용된 자를 일용근로자, 그 이상 고용된 자를 일반근로자로 구분하게 됩니다. 2. 일반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구분 ① 일용근로자 - 원천징수 세액 : [일급-15만원] × 6% × 45% - 연말정산 : 대상 아님 * 원천징수만으로도 납세의무가 종결되는 분리과세 대상 소득 - 일용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대상 : 분기별 지급 금액에 대하여 마지막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 소액부징수 : 소득세법 제86조에 따라 원천징수 세액이 1천원 미만인 경우 소..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도 중 입·퇴사자 및 이중근무자의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해연도 중에 입사한 근로자와 중도에 퇴사한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계속 근로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말정산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다만, 계속근로자와 연도중 입·퇴사자는 정산시기 및 일부 소득공제 항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연도 중 입사자·퇴사자 (1) 정산시기 - 연도 중 입사자 : 다음연도 2월분 급여를 지급할 때 - 중도 퇴직자 : 퇴직하는 달의 급여를 지급할 때 (2) 근로제공 기간 이외 지출분에 대한 소득 · 세액공제의 적용 공제 항목 근로제공 기간 이외 지출분 연금보험료 공제 (국민연금·공무원 연금 등) O 보험료 공제 (건강·고용·장기요양보험 등) X 주택자금 공제 X 기부금..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1월 15일부터 시작되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및 2023년 연말정산 개정세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쉬운 연말정산을 통해 13월의 보너스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1. 연말정산 일정 15일 : 근로자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개통 15일~17일 :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 운영 18일 ~ :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 개통 20일 : 의료비 등 간소화 자료 확정 ~ 29일 : 간소화 자료 최종 제공 ~ 11일 : 연말정산 신고 및 납부기한 1~31일 : 종합소득세 (근로소득 외 사업소득, 임대소득, 배당소득 등) 신고기한 2. 2023년 연말정산 개정세법 (1)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율 확대 ① 대중교통 사용분 : (기존)..

안녕하세요! 연말정산은 알면 알수록 많은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나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 기본공제 대상자의 범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공제란? 근로소득을 포함한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에 대해 거주자 본인 및 기본공제 요건을 충족한 배우자, 그 부양가족에 대해 1명당 연 150만원을 종합소득금액(근로소득금액 포함)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2. 기본공제 대상자 (1) 요건 요건 나이 요건 생계 요건 소득 요건 본인 - - - 배우자 - - 연간 소득 100만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500만) 직계비속(입양자) 만 20세 이하 - 연간 소득 100만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500만) 직계비속(입양자) - 장애인 - - 연간 소득 100만원 이하 ..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에서 근로소득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는 내국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말정산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외국인 근로자 : 12월 31일 현재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에 대한 과세특례 및 조세조약 상의 면제 규정을 이번 게시글에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1.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 (1) 일반적인 연말정산 : 내국인 근로자와 동일한 방법의 연말정산 (2) 외국인 근로자의 과세특례 : 근로소득의 19% 단일세율 분리과세 * (1),(2) 방법 중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연말정산 할 수 있음 2. 외국인 근로자의 세액감면 제도 (1) 외국인 기술자 근로소득세 50% 세액감면 (2) 조세조약에 따른 ..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 의료비 공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이 있어 연말정산을 앞두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매년 이맘때쯤 연말정산 시 어떻게 해야 환급을 많이 받을 수 있을지 고민하실 겁니다. 작년에 사용한 금액을 바탕으로 세액을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도가 바뀐 후에는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지만, 이 의료비 세액공제를 잘 활용하신다면 훨씬 더 많은 세금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의료비 세액공제란?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 대상자(나이 및 소득금액의 제한 없음)를 위하여 해당연도에 지출한 의료비로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의 15%~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산출 세액에서 공제해 주는 지원 제도입니다. 2. 의료비 공제 요건 (1) 공제 대상자 ..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 시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손꼽히는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공제와 관련하여 사례별 연말정산 반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1) 1주택과 1 분양권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① Question : 1주택과 1 분양권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이 소득공제 대상에 해당하나요? ① Answer : "주택"의 범위에는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즉, 주택분양권이나 조합원 입주권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따라서, 분양권은 주택 수 합산 시 포함되지 않으므로 1주택에 대한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은 다른 공제 요건을 충족한 경우 공제 받는 것이 가능하나, 분양권은 "무주택자인 세대주"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기 때문..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출산 전후 휴가·육아휴직자의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휴직 중에는 통상적으로 고용노동부에서 지급하는 육아휴직급여나 출산 전후 휴가 급여를 수급하기 때문에 이 금액들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할까요? 아래 게시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연말정산 대상 여부 휴직 기간도 법적으로 근로 제공 기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과세 연도 현재 휴가·휴직 중인 자도 계속 근로자와 동일하게 연말정산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2. 적용 방법 ① 과세 대상 근로소득 휴가나 휴직 중에 회사가 지급하는 급여 등은 과세 대상 근로소득에 해당하나,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는 출산 전후 휴가 급여 · 육아휴직급여는 비과세 소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연말정산 시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비..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 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예퇴직, 정년퇴직 등 오랫동안 직장에 근속하신 후 퇴직하신 분들이라면 갑자기 늘어난 건강보험료로 당황하신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임의계속 가입제도는 이러한 분들의 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설립된 제도입니다. 1.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 사업주와의 고용관계가 끝난 사람 중 직장가입자로서 1년 이상 자격을 유지했던 자에 대하여 직장 재직 시 납부하였던 보험료가 지역가입자 보험료보다 낮은 경우 그만큼의 보험료를 경감해주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통상적으로 직장가입자보다 지역가입자로 부과되는 보험료가 더 높은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처럼 직장을 퇴사하게 되면 건강보험료의 부담이 커지는 이유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두..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맞벌이 부부는 연중에 어떻게 소비 계획을 짜고, 연말정산에 누구에게 공제를 귀속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맞벌이 부부란? 연말정산에서 제시하는 '맞벌이 부부'는 부부 모두가 연간 소득이 100만원 이상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에는 총 급여액이 500만원 이상)인 부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똑같은 맞벌이 부부라도 한명이 휴직이나 출산 등으로 인해 당해 소득이 상기 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소득이 적은 쪽은 별도의 연말정산 없이 배우자의 기본공제 대상자로 공제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시 꼭 확인하세요! ① 주요 오류사항 Top 3 ⑴ 기본공제 : 부양가족에 대한 기본공제는 부부 중 1명만 신청 가능 - 자녀를 부부가 각각..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본공제대상자
- 원천징수
- 근무처변동내역신고
- 절세
- 종합소득세
- 일용근로자
- 비과세
- 육아휴직
- 소득공제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기타소득
- 중도퇴사자연말정산
- 의료비
- 맞벌이부부
- 연말정산
- 분리과세
- 공제한도
- 세액공제
- 일용근로자연말정산
- 단시간근로자
- 고용보험
- 법정수당
- 피부양자
- 절세전략
- 건강보험
- 보수
- 3개월미만고용
- 사업소득
- 과세제외
- 소득요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