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말정산 시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손꼽히는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공제와 관련하여 사례별 연말정산 반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1) 1주택과 1 분양권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① Question : 1주택과 1 분양권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이 소득공제 대상에 해당하나요? ① Answer : "주택"의 범위에는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즉, 주택분양권이나 조합원 입주권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따라서, 분양권은 주택 수 합산 시 포함되지 않으므로 1주택에 대한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은 다른 공제 요건을 충족한 경우 공제 받는 것이 가능하나, 분양권은 "무주택자인 세대주"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기 때문..
직장인을 위한 세무기초 개념 정립
2024. 1. 3. 15:2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기본공제대상자
- 일용근로자
- 3개월미만고용
- 종합소득세
- 일용근로자연말정산
- 육아휴직
- 기타소득
- 법정수당
- 사업소득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세액공제
- 건강보험
- 소득요건
- 비과세
- 분리과세
- 의료비
- 고용보험
- 소득공제
- 연말정산
- 중도퇴사자연말정산
- 단시간근로자
- 원천징수
- 절세
- 근무처변동내역신고
- 보수
- 공제한도
- 절세전략
- 피부양자
- 과세제외
- 맞벌이부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